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 > 커뮤니티

본문 바로가기

커뮤니티

유머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 배설공주
댓글 0건 조회 3,415회 작성일 24-02-15 02:08

본문

  • 페이스북으로 공유
  • 트위터로  공유
  • 구글플러스로 공유

슬라이드1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 

1950년대 미국,

심리학자 해리 할로우는 

훗날 애착실험이라 불리는 유명한 실험을 한다.


슬라이드2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 

이 실험은 

새끼 붉은털원숭이를 어미랑 분리시킨 후



슬라이드3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철사로 만든 인형과

천으로 덮인 인형


이 둘 중 어느쪽을

새끼가 어미로 선택할까 하는 실험이었다.



 

 


백문이 불여일견

영상으로 집적 봐보자 (25초 ~1분 10초)



슬라이드6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 

영상에서처럼 새끼는

우유를 먹을 때만 철사 엄마에게 가고

대부분의 시간을 헝겊 엄마에게 붙어있었다.


새끼에겐 허기를 채우는 것보다

어미와 비슷한 포근한 감촉이 중요했던 것이다.



슬라이드7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 

아이에게 애정과 스킨십이 필요하다는 건

오늘날엔 상식이지만 

당시에는 꽤 신선한 주장이었다.


당시 부모들은 스킨십을 자제해야 한다고 믿었고

(그래야 독립심이 강한 아이로 자란다고 생각했다)

심리학계에선 모유수유를 통해 아기가 엄마와 애착을 형성한다고 주장했다 

 

그런데 할로우의 실험은 반대로

모유수유보다 스킨십이 중요하다는 걸 밝혀낸 것이다. 



슬라이드8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사랑의 본질(the Nature of Love)이란 제목으로

나온 이 실험 논문은


4000회 이상 인용되며

심리학 서적에서 빠지지 않는 주요 연구로 남게 된다.



슬라이드9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하지만

할로우가 뒤이어 한 실험들이

광기 잔혹함으로 얼룩져 있다는 건 

그리 알려져 있지 않다.



슬라이드10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할로우는 헝겊 엄마를 변형시켜
악마 엄마(Evil artificial mother)를 만들었다.

이 악마 엄마들은 헝겊 엄마와 비슷하게 생겼지만 
새끼에게 좌절감을 주기 위한 장치들이 있었다.



슬라이드11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격렬하게 흔들거나

캐터필트가 튀어나와 

새끼를 떨어뜨렸고



슬라이드12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심지어 가시가 튀어나와 

고통 때문에 엄마 인형을 안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었다.


그리고 이 악마 엄마에 대한 새끼의 반응은 처절했다.

새끼는 공포와 고통을 느끼면서도 엄마 인형을 포기하지 않았다.

장치가 멈추고 잠잠해지면 다시 다가가 인형을 안았다.


버림받고 고통을 느껴도 포기할 수 없을 만큼 

접촉에 대한 욕구가 강했던 것이다.



슬라이드13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새끼 원숭이가 생각보다 쉽게 포기하지 않자

할로우는 보다 강력한 충격을 주는 장치를 만들기로 한다.



슬라이드14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절망의 구덩이(Pit of despair)라 이름 붙은 이 장치는 

사람으로 따지면 독방에 감금하는 장치이었지만

그 환경은 훨씬 혹독했다.



슬라이드15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벽은 깔대기처럼 기울어진 구조여서

기어올라도 다시 아래로 미끄러졌고

운 좋게 올라간다 해도 뚜껑으로 덮여있어서 탈출은 불가능했다.



슬라이드16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장치에 감금된 원숭이는 

처음 1-2일은 탈출을 시도했지만 소용없었고

이내 곧 비좁은 바닥에 웅크린채 가만히 있었다.



슬라이드17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출처

이렇게 좁은 공간에 갇혀 

어미의 애정도, 다른 원숭이와 사회적 접촉도,

심지어 빛도 차단된 환경에서 30일~1년간 격리되는 실험은

새끼 원숭이의 정신을 완전히 망가뜨리기에 충분했다.



슬라이드18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장치 밖으로 나온 원숭이는 

몸을 웅크린채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냈다.

스스로를 껴안거나, 사육장을 반복해서 빙빙도는 이상 행동도 보였다.


그리고 실험한 12마리 원숭이 중 2마리는 

장치에서 나온 후 음식을 거부하다가 거식증으로 죽었다.



슬라이드19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이 원숭이들은 다른 원숭이와 어울리지 못했다.


지나치게 겁을 먹거나

(다른 원숭이에게 괴롭힘 당하기 일쑤였다)

공격성을 자제하지 못했다.

(자기보다 훨씬 덩치 큰 수컷을 공격하는 경우도 있었다)


할로우의 말을 인용하자면 

“그들의 사회적 노력은 애처로웠고 성적인 노력(짝을 맺으려는 노력)은 처량했다.”


그리고 실험은 여기서 끝이 아니였다.



슬라이드20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할로우는 이 원숭이들이 
어미가 되었을 때 행동을 알고 싶었다.

하지만 사회성이 결핍된 이 원숭이들은
짝을 맺고 새끼를 낳지 못했다.

그래서 할로우는 구속 장치를 만들어 (이 장치를 Rape rack이라 불렀다)
암컷 원숭이를 묶어두고 강제로 임신시킨다.


슬라이드21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이렇게 어미가 된 원숭이는 새끼를 돌보지 않았다.
새끼를 안아주지 않고 방치했다.


슬라이드22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방치된 새끼는 그나마 운이 좋은 편이었다.
일부 어미는 새끼를 짓누른 채 손발을 잘근잘근 십거나
새끼의 머리를 으깨서 죽였다.



슬라이드23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출처

이러한 할로우의 실험은 

당시 기준으로도 윤리적인 문제가 많았고

많은 비난을 받았으며

70년대 미국에서 동물인권운동이 활발해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.



슬라이드24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아이에겐 따뜻한 스킨십이 필요하다며

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심리학자가 

어째서 잔혹한 매드 사이언티스트로 변한걸까?


어쩌면 그 진실은 사람들의 비난을 받으며 

쓸쓸히 죽은 할로우만 알고 있지 않을까?





슬라이드25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라고 끝내기엔 섭섭하고


사실 여기엔 숨겨진 배경이 있다.

결론부터 말하자면 할로우의 잔인한 실험들은

우울증 치료를 위한 기초 연구였다.


뜸금없는 소리 같지만 

처음부터 차근차근 짚어보자



슬라이드26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원숭이 엄마 인형 실험을 발표한 후

할로우는 순식간에 유명한 학자가 된다.


그리고 할로우는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

계속 좋은 연구 성과를 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린다.



슬라이드27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출처

이 압박감은

1967년, 미국 과학자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상인

미국 국가 과학상 (National Medal of Science)상을 받으며 

절정에 달했고



슬라이드28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출처

같은 해 아내가 암까지 걸리자

할로우는 우울증에 빠지게 된다.


그리고 증세는 점점 더 심해져

수면제로 자살을 시도하다 2차례 응급실에 실려갔고

결국 이듬해, 정신병동에 2달간 입원까지 했다.



슬라이드29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출처

병동에서 치료를 받으며

할로우는 우울증이 생각 이상으로 고통스럽고 

그에반해 병원의 치료법은 부족하다는 걸 느낀다


당시 항우울제는 효능에 비해 부작용이 심했고

전기경련요법(ECT)처럼 새로 도입된 치료법은 효과 검증이 부족하던 때였다.



슬라이드30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이에 할로우는 자신이 집적 우울증 치료법을 연구하기로 결심한다.


하지만 문제가 하나 있었으니

우울증 치료법을 실험하려면

먼저 우울증에 걸린 실험동물이 필요했다.



슬라이드16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그러니까 절망이 구덩이는

사회적 접촉을 차단해 

우울증에 걸리게 하기 위한 장치였던 것이다.



슬라이드32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이렇게 "환자 원숭이"들이 확보되자

할로우는 이들을 치료하는 시험을 한다.

 

그가 사용한 방법은 생후 3개월의 어린 원숭이를 치료사로 붙여주는 거였다.


어린 원숭이를 사용한 건 아직 어려 공격성이 없고

(비슷한 또래 원숭이를 쓰면 괴롭혔다)

어미에게서 떨어지면, 어미 대신 

주변의 다른 원숭이를 안는 행동을 보였기 때문이었다.



슬라이드33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그리고 이 방법은 효과가 있었다

우울증에 걸린 원숭이가 거부했음에도
어린 원숭이는 끊임없이 안아주었고
같이 놀자고 졸랐다


슬라이드34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시간이 지나면서 
환자 원숭이는 조금씩 마음의 문을 열였고
같이 놀기 시작했으며
6개월이 지나자 정상적인 원숭이와 동일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.


슬라이드35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이러한 회복은 가장 잔인했던 실험에서도 나타났다.
강제로 임신해 새끼를 돌보지 않았던 어미들이 기억날 것이다.

어미가 새끼를 철처하게 무시했음에도
새끼들은 어미를 포기하지 않았다
끈질기게 어미에게 달라붙고 애정을 구걸했다.

그렇게 약 4주가 지나자 어미는 결국 새끼를 받아들였다
새끼를 안아주고 정상적인 어미들처럼 새끼를 돌봤다.

새끼의 끈질긴 노력이
어미의 모성을 회복시킨 것이다.



슬라이드37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실험이 상당히 비윤리적이긴 했지만

오히려 그 끔직한 점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바가 있다 생각한다.


관계의 단절과 고립이 

사람을 얼마나 잔인하게 망가뜨리는지



슬라이드33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그리고 그렇게 망가진 사회성이

누군가의 따뜻한 포옹과 손길로 

회복될 수 있는지를 말이다.


슬라이드39.JPG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<1> 절망의 구덩이

 

엄마와 떨어지자

인형을 엄마처럼 껴안던 새끼 원숭이처럼


사람도 무언가 대체제를 통해 

그 허전함을 채우고 싶어하는게 아닐까?


그만큼 관계의 욕구는 중요하고 강력한 것 같다.




## 뒷 이야기 ##


1 심리학은 제 전공이 아니라서 부정확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. 있다면 댓글로 지적해주세요.

2 할로우 본인도 실험의 잔인성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치료법 개발을 위해선 용인될 수 있다고 생각한 듯합니다.


 "몇몇 실험은 잔인한 면이 있지만, 10마리 원숭이의 희생으로 100만명의 아이들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. 게다가 우리는 우울증에 걸린 원숭이를 성공적으로 재활시켰습니다. 이 기술들은 인간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겁니다. "


1978년 The Capital Times에 기고한 

할로우의 글 (의역)
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  • 원스파워볼 [ 회차] 01 : 21후 추첨
  • 원스사다리 [ 회차] 01 : 21후 추첨
  • 원스주사위 [ 회차] 01 : 21후 추첨
  • 원스카드홀짝 [ 회차] 01 : 21후 추첨
  • 원스로우하이 [ 회차] 01 : 21후 추첨

전체 포인트 순위

  • 1나라사랑1,128,620
  • 2나연승1,125,193
  • 3코드블루1,107,328
  • 4카플할사람1,091,443
  • 5방문객1,067,456
  • 6호랑나비1,048,691
  • 7알리바바1,032,715
  • 8도도녀1,031,580
  • 9베팅감사998,251
  • 10짱깨나라963,291

원스포츠 스포츠 커뮤니티 No.1 원스포츠

전세계 스포츠경기의 다양한 정보를 무료 제공하고 있으며 건전한 스포츠 토토문화를 만들어갑니다.


모바일버전